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투자 자산 가치 하락은 동시에 일어날까?

Macro

by jaryeonge 2023. 12. 10. 15:55

본문

※ 차트로 알아보는 투자 자산

투자 자산은 매일 가격이 상승하고 하락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을 관찰하는 것은 좋은 투자를 하기 위한 첫 번째 발걸음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증시의 하락 시기를 중점으로 다양한 자산들의 흐름을 살펴보려고 한다.

 

나스닥 100 월봉 차트

위에 있는 그림은 나스닥 100 월봉 차트이다.

월봉의 스케일로 봤을 때, 21세기에서 하락 추세는 크게 3번 있었다.

2000년대 초반 IT 버블과 9.11 테러시기에 발생한 증시 하락,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 때 발생한 증시 하락,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금리 조정, 코로나 시기에 급격한 주가 상승의 조정 영향으로 증시 하락이 있었다.

 

위와 같은 시기에 좋은 투자 전략은 무엇일까? 가장 단순한 방법은 하락장 초반에 주식을 매도하여 현금화하는 것이다. 이는 가장 단순하면서 파워풀한 투자 전략이다. 물론 다시 상승할 때, 처분한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매수를 해야한다는 전제가 매우 중요하며 짧으면 1년, 길게는 2~3년간은 투자 이익을 실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더욱 발전한 전략은 현금을 다시 다른 대체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다. 이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주식과 반대되는 흐름을 가진 자산이 존재해야 한다. 전 세계적으로 경제가 휘청이는 겨울 속에서 꿋꿋이 피어 있는 꽃과 같은 자산은 과연 있을까?

 

 

S&P 500 먼저 비교해보자.

S&P 500 월봉 차트

역시 같은 성격의 인덱스이기 때문에 동일한 흐름을 보여준다. 차이점이 있다면 테크 관련 주식만 모아놓은 위기 시 나스닥보다 완만한 하락율과 그에 비례한 낮은 성장률을 보여준다.

 

2017년 부터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비트코인은 어떨까?

비트코인 월봉 차트

2001년과 2008년 데이터가 없어서 비교하기는 힘들지만 2022년에는 동일하게 하락세인 것을 볼 수 있다. 차트를 통해 변동성이 매우 심하다는 코인의 특징도 쉽게 볼 수 있으며, 결국 코인도 큰 관점에서는 주식과 그 궤를 같이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는 실물 자산인 골드를 살펴보자.

골드 ETF 월봉 차트

일반인이 금을 투자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골드 ETF를 투자하는 것이다. 소액으로 골드를 유동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 하지만 골드차트 역시 하락폭의 차이가 있긴하지만 주식 차트와 그 궤를 같이한다. 골드도 경제 위기에는 대체 투자 자산이 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투자론에서 주식의 대체 자산이라고 하는 채권은 어떨까?

미국 채권(10년) 월봉 차트

대표적인 미국의 10년채권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2001년, 2008년에는 횡보 추세를 보였고, 2022년에는 엄청난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완벽한 대체 자산이라고는 볼 수 없지만 종목 마이크로 분석 및 기술적 분석을 곁들인다면 충분히 주식 하락장 시기에 수익률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부동산을 비교해 보았다.

부동산 ETF 월봉 차트

사실 부동산은 미국과 한국이 다르고, 또 지역별로 너무나 상이하기 때문에 제대로된 비교 분석은 힘들다. 러프하게 ETF를 통해 비교해서 인사이트 정도만 얻기 위해 차트를 살펴보았다. 2008년의 경우는 리먼브라더스 사태였기 때문에 하락장을 피할 수 없었지만 2022년에는 횡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채권처럼 명확한 상승추세를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대체 자산의 대상으로 연구 가능성이 있어보인다.

 

나스닥 100 중심으로 정리해보면

동일하게 하락: S&P 500, 비트코인, 금

횡보 or 하락: 부동산

횡보 or 상승: 채권

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주식의 하락장에서도 계속 꾸준히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채권을 분석하여 투자하는 것이 괜찮다. 물론 이는 주식의 하락장을 캐치할 수 있는 분석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다음 매크로 관련 포스팅에서는 주식의 하락장 시기에 나타났던 다양한 경제 지표와 차트의 기술적 지표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