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 나스닥과 경제지표의 상관관계 - PMI

Macro/Nasdaq & Macro

by jaryeonge 2024. 3. 8. 19:16

본문

오늘은 PMI가 무엇인지와 이것이 나스닥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 지 살펴볼 것이다. 사실 필자도 레버리지 ETF 중심적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전에는 잘 몰랐던 경제지표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공부를 많이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던 것 같다. 과연 PMI를 분석하는 것이 투자 의사결정에 얼마나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지 함께 알아가보자.

 

PMI란?

먼저 PMI의 정의부터 알아보자. PMI, Perchasing managers' index는 각 비즈니스 섹터의 구매 관리자의 설문조사를 통해 경제가 좋아질 지 나빠질 지 의견을 받고 이를 지표로 나타낸 결과다. 지표를 생산하는 주관협회에 따라 조금씩 다른 설문조사 방식과 산출식을 가지고 있지만 한 마디로 말하자면 0~100 사이의 점수를 지니고, 50이상이면 관계자들이 경제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고 그 밑이면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순하게 정리하면 50이상이면 주가의 긍정적 신호, 반대의 경우는 부정적 신호를 보낸다고 할 수 있다. 정말로 그러한 지는 아래에서 데이터를 통해 분석해보자.

 

PMI의 종류

PMI는 다양한 국가에서 만들어내고 있지만 분석의 대상이 나스닥이므로 미국의 PMI를 중심적으로 다루겠다. 미국의 PMI는 역시 국가의 스케일 답게 여러가지가 있다.

 

1. S&P 글로벌 서비스 PMI

400여 개의 서비스업 구매 관리자들에게 발송한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편성, 해당 지수는 소비자, 운송, 정보, 통신, 금융, 보험, 부동산 및 비즈니스 서비스 등의 부문을 포함한다.

2. S&P 글로벌 제조업 PMI
약 800개 제조업체의 구매 관리자들에게 발송한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편성한다.

3. S&P 글로벌 종합 PMI

서비스 PMI와 제조업 PMI의 가중평균치를 나타낸다.

4. ISM 서비스 PMI

ISM, 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nt(미국 공급관리자협회)가 비제조업 구매 관리자들에게 발송한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편성한다.

5. ISM 제조업 PMI

ISM이 제조업 구매 관리자들에게 발송한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편성한다.

6. 시카고 PMI

ISM-시카고에서 시카고 지역의 제조 및 비제조 부문의 구매 관리자들에게 발송한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편성한다.

 

이 중, Tradingview에서 제공해주는 ISM PMI를 가지고 차트 분석을 해보자.

 

PMI & NDX

NDX monthly candle chart with PMI

 

Julien_Eche라는 tradingview 유저분께서 만든 PMI 차트를 활용해서 나스닥 100 지표(로그 스케일링)와 비교를 해보았다. 50 밑으로 PMI가 떨어지면 빨간색으로 표시해주어 직관적으로 볼 수 있고, MA(이동평균선)도 추가를 해주셨다.

 

NDX monthly candle chart with PMI 2

 

빨간색 세로줄로 표현된 곳이 나스닥의 대폭 하락 시작점, 파란색 세로줄(해골 표시)이 PMI가 52선을 돌파한 지점, 초록색 세로줄은 하락 시작점과 PMI 52 돌파가 동시에 발생한 지점이다. 파란색으로 표현된 영역은 PMI가 50 밑으로 유지될 때를 표현한다.

 

차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52를 기준으로 삼았을 때 나스닥의 대폭 하락지점을 캐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볼 수 있다. 2000.04, 2007.08, 2018.10, 2021.12 4가지 큰 하락지점을 포착했다. 다만 2004.09, 2011.05, 2015.01에서는 유의미한 지점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기준선을 50~60 사이에서 최적화하고 이동평균선을 이용한다면 하락지점, 즉 매도 후 현금화 하는 시점을 파악하기에는 연구 가능성이 있어보이는 지표라고 생각한다. 다만 매수 타이밍을 포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지표라고 생각한다.

 

S&P 500 monthly candle chart with PMI


추가로 다양한 산업 섹터들을 포함하고 있는 S&P 500 차트도 가져와 봤다. 사실 나스닥과 S&P는 그 궤를 거의 같이 가져가기 때문에 비슷한 형상을 보이고 있다. 그래서 해석 또한 나스닥과 동일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결론

PMI 지표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산업 섹터를 아우르는 수치다. 이는 미국 시장의 공포 지수가 높아지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50 초반선을 돌파하여 하락하는 시점은 매도를 고려할 여지가 있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람들의 심리와 관련된 지표이므로 실제 매도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른 여러 지표를 고려하길 바란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