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을 통해 투자를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사람마다 의견이 다를 수는 있지만 필자는 현재 어떠한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를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추세를 포착함으로써 저점 매수, 신고가 매수 등 다양한 매수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추세의 전환을 포착할 수 있다면 더더욱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코스피 차트를 보고 낮은 곳에서 사고 높은 곳에서 판매하는 저점 매수 전략을 사용한다고 해보자.
분명히 저점 매수 전략을 1, 2 똑같이 실천했다. 하지만 1은 이익을 볼 수 있고, 2는 손해를 봐야한다. 이는 저점 매수 전략을 추세에 대해 고려하지 않은 채 사용했기 때문에 나타난 손해다. 따라서 오늘은 투자 전략 수립의 기본중의 기본. 추세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고자 한다.
주식시장에서 추세란 특정한 각도로 가격이 형성되며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추세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격이 상승하는 중임을 말하며 보다 높은 고점, 보다 높은 저점을 지속해서 갱신해 나간다.
흔히 말하는 우상향한다와 비슷한 의미이며 상승추세를 포착해서 매수를 하는 것이 투자 전략의 기본중에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차트는 상승추세의 표본을 보여주는 2009년~ 나스닥 데일리 캔들차트다.
가격이 하락하는 중임을 말하며 보다 낮은 고점, 보다 낮은 저점을 지속해서 갱신해 나간다.
해당 시기에는 인버스 ETF 혹은 선물의 숏포지션을 취하거나 주식을 매도해서 현금화 하는 것이 가장 좋은 투자전략이다.
2000년 IT 버블 붕괴 이후 발생한 금융위기 시기에 나스닥은 3년간 하락추세를 형성했다.
가격의 상승과 하락이 일정한 구간 안에서 반복되는 중임을 말한다.
횡보추세가 대표적으로 잘 나타나는 곳이 바로 국내 주식시장이다. 흔히 말하는 박스피...라는 명성에 걸맞게 코스피는 횡보추세가 자주 보인다.
위의 3가지 추세를 설명하면서 필자는 데일리 캔들 차트를 예시로 사용했다. 하지만 캔들의 단위를 4시간, 1시간, 5분, 1분 등으로 바꾸게 되면 데일리 캔들차트에서는 횡보추세였던 것이 상승추세가 되기도 하고 하락추세가 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2023년 12월 28일, 나스닥은 상승추세야"와 같은 말은 정답이 아니다. 자신의 투자 전략을 적용할 대상이 4시간 캔들이면 그에 맞게 4시간 캔들 차트를 분석하고 추세를 정의해야 한다. 스케일에 있어서 정답은 없다. 단타, 스윙, 장기 투자... 어떠한 방식으로 투자하는 것은 투자자 본인의 몫이다. 다만 중요한 것은 성공적인 투자자가 되기 위해서는 자신이 뛰어든 시장이 지금 장밋빛 미래를 그리고 있는 지 아니면 어둠으로 치닫고 있는 지를 끊임없이 분석할 수밖에 없다.
Long and High Strategy (고점 돌파 전략) (1) | 2024.10.02 |
---|---|
횡보란 무엇인가? (1) | 2024.08.21 |
나스닥 선물 트레이딩: MACD 돌파 전략 with 시그널메이커 (1) | 2024.07.14 |
미국 채권 ETF 매수 타이밍 분석 (0) | 2024.03.03 |
트레일링 스탑(Trailling Stop), 분할 매도의 적절한 방법 탐구 (3)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