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채권, ETF를 투자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일까? 매수? 종목선정?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매도가 가장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매도의 방식이 너무나도 다양하기 때문에 바이블과 같은 정석 매도 기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각자의 목표 수익률이 다르고 손절의 규칙이 다르며 장기 투자를 해서 아예 매도 기법을 가져가지 않는 투자자도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도의 한 방법 중에 하나인 분할 매도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고자 한다. 또한 거기에 트레일링 스탑 기법을 활용해 좀 더 기계적이고 퀀트적인 투자를 하는 방식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한다.
분할 매도란 분할 매수처럼 보유 주식을 한 번에 다 파는 것이 아니라 특정 목표를 달성했을 때마다 나누어서 매도하는 기법을 말한다. 주식이 언제 떨어질 지 혹은 더 올라갈 지에 대해서는 아무리 분석을 열심히 해도 미래를 볼 수 있는 사람이 아닌 이상 100퍼센트 확신을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리스크 관리와 목표 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해 분할하여 매도하는 투자 방식이 좋을 수가 있다.
아래 차트를 통해 그 예시를 살펴보자
ETF 차트는 아니지만 나스닥 차트로 예시를 살펴보면, 특정 시점에서 나스닥을 매수한 다음, 20%, 30%, 40%의 수익률을 달성할 때마다 100주씩 파는 분할 매도 전략이다. 만약 자신의 목표 수익률이 30%라면 위의 분할 매도 전략은 매우 적절한 전략일 수 있다.
이처럼 분할 매도는 자신의 투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전략이다. 하지만 투자효율을 높이고 싶어하는 투자자들에게 특정 수익률 달성 시 판매하는 전략은 그다지 좋은 방법이 아닐 수 있다. 결과적으로 봤을 때 2023년 나스닥 시장이 좋았기 때문에 7~11월 있었던 짧은 하락추세에 돌입하기 전에는 매도를 하지 않는 것이 좋아 보인다. 즉, 분할 매도를 하는 시점을 가격이 하락하는 시점으로 잡는 것이 좋을 수 있다는 것이다.
가격이 하락하는 시점에 매도를 하는 기법 중에 하나로 트레일링 스탑이 있다. 트레일링 스탑이란 무엇일까? 키움증권에서 나온 용어 설명을 살펴보자
트레일링 스탑이란 현재가가 목표가를 초과하여 상승한 뒤, 하락반전하여 감시시작 이후의 최고가에서 '스탑'설정한 틱수만큼 하락할 경우 자동으로 주문을 실행하여 수익 및 손실을 방어하는 주문을 의미합니다.
즉, 하락하는 시점을 캐치하여 매도 주문을 하는 트레이딩 기법 중에 하나다. 이를 분할 매도에 적용한다면, 가격 조정 시기를 대응하고 폭락 시기에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다. 차트와 함께 보면서 그 상황을 살펴보자.
단순하게 고점 대비 n%의 하락에 도달했을 때 매도 시그널을 발생시키는 % 트레일링 스탑을 분할 매도에 적용해보자. 5% 트레일링 스탑에 걸리면 100주 매도, 10%에 걸리면 100주 매도, 15% 혹은 20% 에 걸리기 전까지 100주 보유하는 전략을 사용했다. 수익율은 21.27%, 28.24%, 43.49% +- a 를 각 100주마다 실현하게 된다.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할 때, 일부분만 매도하여 나머지 보유 자산은 계속 수익률을 높일 수 있어 흔히 말하는 개미 털기 시점을 견딜 수 있다.
물론 위의 예시는 장이 좋았던 2023년이다. 2022년 차트를 보면 트레일링 스탑의 리스크 관리 효과를 잘 볼 수 있다.
2022년처럼 대 하락 시기가 있던 경우, 특정 수익률을 달성했을 때 분할 매도하는 기법은 큰 낭패를 보게 된다. 20퍼센트 수익률이 오기 위해서는 하락시기에 계속 존버해서... 2023년처럼 좋은 장이 왔을 때 겨우겨우 판매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트레일링 스탑을 적용하면, 6%, 본전, -5%의 수익률을 각 100주마다 달성하게 된다. 즉 리스크 관리 효과가 매우 크다.
% 트레일링 스탑 외에도 변동성(ex ATR)과 평균선(MA)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트레일링 스탑 기법을 개발하고 연구할 수 있다. 자신이 투자하는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트레일링 스탑 기법을 만들고 테스트하여 리스크 관리와 높은 수익률 모두를 챙겨가는 투자자가 되기를 바란다.
Long and High Strategy (고점 돌파 전략) (1) | 2024.10.02 |
---|---|
횡보란 무엇인가? (1) | 2024.08.21 |
나스닥 선물 트레이딩: MACD 돌파 전략 with 시그널메이커 (1) | 2024.07.14 |
미국 채권 ETF 매수 타이밍 분석 (0) | 2024.03.03 |
추세란 무엇인가? (2) | 2023.12.28 |